파이썬의 이스케이프 문자, 이스케이프 케릭터는 파이썬에서는 반칙같은 문자여서 있는 그데로 출력이 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무언가로표시됩니다.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려면, 백스래시(역스래시, \)를 사용하면 됩니다.
다음은 파이썬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기 위한 구문 입니다.
\이스케이프 문자
여기서 이스케이프 문자는 t, n, e 도는 \ (백스래시 자체)가 되기도 합니다.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종류
이스케이프 시퀀스 | 설명 |
\’ | 작은 따옴표 |
\\ | 백스래시(역스래시) |
\n | 다음줄 |
\r | 리턴, 엔터… |
\t | 탭 |
\b | 백스페이스 |
\f | 폼 피드 |
\ooo | 8진수 등가 |
\xhhh | 16진수 |
다양한 이스케이프 문자의 사용 예시
"\n" #줄바꿈을 해주는 문자 입니다.
#[예시]
Char = 'Entity\nPython'
print(Char)
#[결과]
Entity
Python
"\\" #문자열에 백슬래시(\)를 출력 할 수 있습니다.
#[예시]
Char = 'Entity\\Python'
print(Char)
#[결과]
Entity\Python
"\xhh" #백슬래시 뒤에 16진수 숫자를 사용합니다. 이때 큰따옴표로 묶어서 사용합니다.
#[예시]
Char = "\x45\x6e\x74\x69\x74\x79"+"Python"
print(Char)
#[결과]
EntityPython
"\b" #이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파이썬 문자열 에 백스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백슬래시 뒤에 "b"를 추가하여 삽입합니다. 여기서 "b"는 백슬래시를 나타냅니다.
#[예시]
Char = "Entity\bPython"
print(Char)
#[결과]
EntitPython
"\f" #리터럴 문자열의 보간에 도움이 됩니다.
#[예시]
Char = "Entity\fPython"
print(Char)
#[결과]
Entity
Python
"\r" #원시 문자열을 생성 합니다.
#[예시]
Char = "Entity\rPython"
print(Char)
#[결과]
Python
"\'" #w작은따옴표를 추가합니다.
#[예시]
Char = "Entity\'Python"
print(Char)
#[결과]
Entity'Python
파이썬에서 이스케이프 문자는 여러가지 가있으며,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한번 식 실행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기능이 있구나 정도로 어딘가 메모 해 놓으면 될 듯?
이스케이프 문자 “\t” 의 역할
파이썬의 t 알파벳은 공백을 나타냅니다. 코드에서 문자열 사이에 공백이나 탭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필요할 때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공백을 두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카보드 공백 사용을 없애기 위해 코더는 탭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t" #탭 공백을 입력합니다.
#[예시]
Char = "Entity\tPython"
print(Char)
#[결과]
Entity Python
# 키보드로 스페이스나 탭을 입력하는 대신 EntityPython 사이에 탭을 입력햇습니다. 입력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에 공백을 입력 시킬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t”를 언제 사용할까.
이스케이프 시퀀스 탭은 단어 사이에 수평 탭을 두는 데 사용되므로 파이썬 문자열을 조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이스케이프 시퀀스 탭을 사용하지 않으면 프로그래머는 문자열의 모든 단어 사이에 수동으로 공백을 추가해야 합니다.
시간 소모적인 연습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다른 키워드 사이에 추가된 공간은 배치가 정확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단어 사이에 공백을 수동으로 추가하는 방법과 단어 사이에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print("문자열 Entity Python에 수동(키보드)로 공백 추가")
TextEx = "이스케이프\t문자를\t이용하여\tEntity\tPython에\t탭\t추가"
print(TextEx)
#[결과]
문자열 Entity Python에 수동(키보드)로 공백 추가
이스케이프 문자를 이용하여 Entity Python에 탭 추가
프로그래머가 위 코드에서 단어 사이에 공백을 수동으로 추가했기 때문에 배치가 정확하지 않았습니다. 이스케이프 시퀀스 탭이 적용되었을 때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단어 사이의 공백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했습니다.
내장 함수 Chr(), Ord()의 적용
Chr() 함수는 단일 인수를 입력으로 받는 빌드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각각 0~1,114 및 111의 범위를 갖는 유니코드 문자를 입력으로 받습니다. 이 함수는 두 단어 사이에 공백을 두기 위해 이스케이프 시퀀스 “\t”의 대체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r 함수의 구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Chr(유니코드 문자)
print("탭에 대한 유니코드 문자는")
Ord=ord('\t')
print(Ord)
#[결과]
탭에 대한 유니코드 문자는
9
위의 코드는 탭에 대한 유니코드 문자를 제공합니다. Chr 함수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r(9)을 사용하면 탭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대체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코드는 아래와 같이 Chr(9)를 사용하는 방법의 예입니다.
TextEx = "Entity"+chr(9)+"Python"
print(TextEx)
#[결과]
Entity Python
요약
- 백슬래시도 특수 문자로 간주됩니다.
-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만들려면 백슬래시 뒤에 불법 문자를 붙여 시작합니다.
-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예로는 각각 “\b”, “\t”, “\n”, “\xhh” 및 “\ooo”가 있습니다.
- “\t”는 두 단어 사이에 공백이나 탭을 삽입할 수 있게 해줍니다. 키보드에 있는 스페이스 키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 프로그래머가 문자열의 정확한 위치에 공백을 추가하려고 할 때 “\t”를 사용합니다.
- 특정 공백은 파이썬 문자열 사이에 줄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줄 바꿈과 캐리지 리턴, 세로 탭, 폼 피드는 공백의 종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