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파이썬 변수 사용 방법, 의미

파이썬 변수란?

모든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파이썬 변수 역시 어떠한 변화될 수 있는 값을 담을 수 있는 공간, 메모리의 위치를 의미 합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는 처리를 위해 컴퓨터에 데이터를 제공하며 선언, 연결, 삭제가 가능하고 지역변수 및 전역(global) 변수가 있습니다.

변수의 유형

파이썬에서의 모든 데이터에는 각각의 유형이 있습니다.
문자, 숫자,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의 유형이 있으며 변수에 각각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습니다. 변수는 어떠한 특수한 이름으로 명명할 수 있으며 a, aa, aaa, aab 등과 같이 문자로 선언이 가능 합니다.

변수의 선언

파이썬 변수와 그 값의 선언은 “변수명 = 값”으로 선언 할 수 있습니다.

변수선언후 변수의 걊은 지난시간 1-3. 파이썬 출력. print() 구문 사용하여 입력값 출력하기 에서 배운것 처럼 print()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보겠습니다.

#변수 a 가 100 임을 선언
a = 100

#변수 a 출력
print(a)
# 결과
100

변수의 재 선언

한번 변수를 선언한 후에 다시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 위에서 a=100 이라고 변수 a를 선언했다.

a = 100 #변수 a의 값을 100으로 선언

a = 'Entity' #변수 a를 Entity라고 다시 선언

print(a)
#결과 :
Entity

문자열과 변수의 연결

문자열과 숫자와 같이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서로 연결 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서 ‘Entity’와 숫자 100을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요?

파이썬에서는 숫자와 숫자를 + 로 연결을 하면 “연산”을 합니다. 하지만 숫자와 문자를 + 로 연결을 하면 “에러”가 납니다.

파이썬 변수의 연산은 같은 유형의 데이터만 가능하다

문자와 숫자를 더하려고 하면 TypeError 오류가 납니다. 더하기는 숫자만 가능하다는 메시지도 있네요. 하지만 문자는 숫자로 바꿀수 없고… 숫자를 문자로 바꿔서 두 문자를 더하는 방법은 가능합니다.

파이썬 변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유형의 자료형이나 변수로 만들어야 한다.

물론 또 다른 방법들이 있겠지만, 3가지 방법으로 문자와 숫자를 더해봤습니다. 결과는 모두 Entity100 으로 동일합니다. 연산이 아닌 단순히 두 값을 연결되었습니다.

지역(로컬)변수 전역(글로벌)변수

파이썬 변수에는 지역(로컬)변수와 전역(글로벌)변수가 있습니다.

프로그램이나 모듈의 나머지 부분에 동일한 변수를 사용하려면 전역 변수로 선언하고 특정 함수 나 메서드에서 변수를 사용하려면 지역 변수를 사용합니다.

아래 간단한 예시로 지역변수와 전역변수를 이해해 보아요

# 변수 f 선언
f = '변수 f를 선언합니다. 어떤 변수일까요?'
print(f) # 1) 변수 f 출력

def g_functing():
  f = '여기의 f 는 지역변수 입니다.'
  print(f) # 2) 별수 f 출력
  
g_functing() # 함수 g_functing 를 실행 하여 변수안의 f 를 출력
print(f) # 3) 변수 f 출럭



##### 실행 결과

변수 f를 선언합니다. 어떤 변수일까요?
여기의 f 는 지역변수 입니다.
변수 f를 선언합니다. 어떤 변수일까요?

파이썬에서는 global 명령어를 사용해서 함수 내부에서도 전역변수를 참조 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변수 f 선언
f = '변수 f를 선언합니다. 어떤 변수일까요?'
print(f) # 1) 변수 f 출력

def g_functing():
  global f #함수 내에서 f가 전역변수임을 선언
  print(f) # 2) 전역변수 f 출력
  f = '여기의 f 는 여전히 전역 변수 이며, 다시 선언 하였습니다.'
  print(f) # 3) 별수 f 출력
  
g_functing() # 함수 g_functing 를 실행 하여 변수안의 f 를 출력
print(f) # 4) 변수 f 출럭




##### 실행결과

변수 f를 선언합니다. 어떤 변수일까요?
변수 f를 선언합니다. 어떤 변수일까요?
여기의 f 는 여전히 전역 변수 이며, 다시 선언 하였습니다.
여기의 f 는 여전히 전역 변수 이며, 다시 선언 하였습니다.
  • 함수 g_function 안에서 global 키워드를 사용하여 전역변수 f를 사용합니다.
  • 함수 안에서 글로벌 변수 f를 다시 선언합니다.
  • 함수를 실행시켜 함수안의 변수 f의 변화를 확인합니다.

변수의 삭제

del 명령어를 통해서 함수를 삭제 할 수 있습니다.

del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변수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변수는 삭제하여 프로그램을 가볍게 만들 수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