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입력값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print() 구문을 사용 합니다. 프린터(printer)를 통해서 인쇄하는 것은 아니고 입력받은 어떤 값을 파이썬 출력을 해보기로 하겠습니다.
앞에글 (1-2. 파이썬 프로그래밍 처음 시작하기)에서도 print()를 잠깐 다루긴 했지만, 이번에는 지난번보다 쬐~~~~~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파이썬 출력 사용구문
#사용방법
print(object(s))
print() 라는 함수는 함수안에 지정된 객체를 화면에 나타내는 기능을 합니다.
함수안에 들어있는 객체는 (표현할수있다면) 문자열(String)으로 표현되어 보여 집니다.
print() 사용 여러가지 방법
아래이 예시를 보면 print()구문에 들어가는 문자 또는 숫자의 표현방법을 몇가지 나타내 봤다.
입력창의 내용과 아래의 결고 값을 비교해 보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이 가능할 것입니다.

- 문자열을 print()를 통해서 보여주기 위해서는 큰따옴표(“”) 감싸야 합니다.
- 숫자를 입력할때는 숫자만 입력하면 됩니다.
- 작은따옴표(”)로 감싸도 됩니다.
- 콤마(,)를 이용해서 두개의 객체를 표시 할 수 있습니다.
- +를 사용해서 두가지 문자열을 연결 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과 숫자를 +로 연결은 할수 없습니다.
빈줄 print 하기 (줄바꿈 하기)
파이썬 출력할때 여러줄을 띄어서 출력 해야할 사항이 있습니다.
파이썬에서의 줄 바꿈은 \n 을 사용합니다.
print(5*'\n')
# 또는
print('\n\n\n\n\n')
두가지 모두 같은 결과값을 가지며, 5줄 띄어쓰기를 하게 됩니다.

실습을 해보면 아시겠지만 다른모양의 구문이지만 동일한 결과를 가지게 됩니다. 어떤것이 더 좋고 나쁨은 없고 상황에 따라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print()의 “끝” (종료)
기본적으로 파이썬 출력의 마지막은 줄바꿈 으로 끝나게 된다. 그래서 위에 있는 첫번째 예시를 보면 여러 print()구문을 사용했을때 자동으로 줄바꿈이 되고 있는것이 보입니다. print()구문의 마지막은 ‘\n’ 입니다.
이대 매개변수를 사용하게 되면 ‘\n’이 아닌 다른 문자열로 끝낼수가 있다.
단, 파이썬3 이상에서만 되는 기능입니다.
[예제 1]
print("Welcome to", end = ' ')
print("Entity World", end = '!')
#결과
Welcome to Entity World!
[예제 2]
print("Python 좋아~" , end = '@')
#결과
Python 좋아~@
1 thought on “1-3. 파이썬 출력. print() 구문 사용하여 입력값 출력하기”